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
정렬 알고리즘1 글을 써놓고 2는 바빠서 못썼네요ㅎㅎ..
오늘은 퀵정렬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퀵정렬은 개념을 아예 모르시는 분들이 보면 이해하기가 처음엔 힘들어요.
그래서 그런분들을 위해 퀵정렬만!! 정리해보려고해요.
하하
정렬 알고리즘 - Quick Sort
퀵정렬!!
자, 이름부터 퀵(Quick)이네요.
퀵은 다들 아시는 것처럼
뜻은
① (동작·활동 등이) (재)빠른
②(속도상으로·걸리는 시간이 짧아서) (재)빠른
③(재)빨리, 신속히
입니다.
이름부터 뭔가 빠른 정렬 알고리즘 같죠? 실제로
다른 정렬 방법에 비해 일반적으로 가장 빠른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하지만!!
대상 데이터의 특징이나 데이터 크기에 따라 반드시 위 말이 맞는 것은 아닙니다.
실제로 최악의 경우에 시간복잡도가 n^2기도 하구요.
이 글을 읽기전에 정렬 알고리즘1끝부분에 써놓은 퀵정렬에 대한 설명을
꼭 읽고 와주세요.
그것마저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요약해드리면
퀵정렬은 평균적으로 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지만,
최악의 경우 n^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.
자, 어떤 알고리즘이길래..
제가 처음 퀵정렬을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서라도
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퀵 정렬 (Quick Sort)
특징
1. 랜덤배열에서 빠른 정렬 속도를 보인다.
2. 피벗(pivot)을 선정하는 방법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.
3. 순열이나 역순의 경우 매우 느린 속도를 보인다.
4. 재귀함수 기반으로 구현시 복잡하게 생각될 수 있다.
시작하겠습니다.
일단
퀵정렬이 뭐지? 하고 찾아보시면
이런 설명을 보셨을 겁니다.
퀵정렬은 분할 정복 (Divide and conquer)을 이용하여
정렬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.
분할정복..?;;
어렵게 생각하지마세요!!
분할정복은 간단히 말해서
어떤 문제가 있습니다.
이 문제는 이상태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.
그래서 우리는 이 문제를 작은 문제들로 쪼개서
문제를 해결할 거에요.
이게 바로 분할 정복입니다.
이름 그대로 분할해서 정복해나가는 거죠.
퀵정렬이 분할정복을 이용하여 정렬을 어떻게 수행할까요?
뭔가 정렬할 데이터들을 쪼개는 것 같네요.
퀵정렬에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.
바로 기준 값 인데요,
퀵정렬에서는
pivot point라고 기준이 되는 값을 하나 설정 하는데,
이 값을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, 큰 값은 오른쪽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정렬을 진행합니다.
이를 반복하여 분할된 배열의 크기가 1이되면 배열이 모두 정렬 된 것입니다.
역시 글로 쓰니까 하나도 모르겠네요.
[ 4,3,7,5,2,8,1,6 ]
이 데이터들을 정렬해보겠습니다.
과정을 먼저 살펴볼까요?
1. 기준값(=Pivot)을 정한다.
(이 피봇을 선택하는데서 수행시간의 차이가 일어납니다. 밑에서 설명할게요.)
2. L은 기준값보다 작아야하며, R은 기준값보다 커야한다.
L < 기준값 < R
3. L과 R이 만나는 자리가 기준값의 자리이다!
이까지 읽으시면 이해가 하나도 안가실거에요!
그래서 제가 동영상을 하나 만들었습니다..
00:14초 부터 보시면돼요.
이거 동영상 한번만 보시면 퀵정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
한번에 알 수 있습니다.
6분만 투자해보세요.
참고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S2c4zAGgVgI&t=169s
이해가 좀 가셨나요?
이 방법 말고도 다른 방법으로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원리는 같아요.
저는 이 방법이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 같아서
위 참고 동영상을 보고 따라 만들었어요.
자, 이제 정말 흥미진진한 시간복잡도를 생각해 볼때입니다.
인터넷에서 퀵소트의 시간복잡도는 O(nlogn)이라는 글을 많이 보셨을거에요.
이거는 정확히 맞는 말은 아닙니다.
( 최악의 경우 n^2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므로 )
평균적으로 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져요.
그래서.
어떻게 이 nlogn의 평균적인 시간복잡도가 나오는지 생각해봅시다.
n 개의 원소인 배열을 정렬할 때 걸리는 수행 시간을 T(n)이라고 합시다.
퀵 정렬은 재귀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고 반 씩 나누어
재귀 호출이 이루어지는데,
재귀 호출이 진행하기 전에 비교에 걸리는 시간을 S(n)이라고 합시다.
그리고 n 개인 원소를 재귀 호출 전에 비교하는 횟수는
n번이므로 S(n)=n입니다.
T(n) = 2*T(n/2) + n = n^2T(n/n^2) + 2*n = … = h*n
-> T(n) = 2*T(n/2) + n = 2^2T(n/2^2) + 2*n = 2^hT(n/2^h) + h*n = h*n
재귀는 원소 개수가 1보다 작으면 탈출하므로 n^h =1 일 때 더 이상 재귀 호출은 발생하지 않습니다.
h = logn이므로 T(n) = nlogn
자, 왜 nlogn인지 아시겠나요?
하나도 모르시겠다구요?
예를 들어서 설명드릴게요.
31개의 요소들을 대상으로 퀵 정렬이 진행된다고 가정해봅시다.
피벗이 가장 이상적인 중간 값으로 결정된다고 가정을 한다면
첫 번째 분할에서 15개씩 둘로 나뉘게 됩니다.
그리고 두 번째 분할에서 각각 7개씩 나뉘어 총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됩니다.
이 영역은 또 다시 3개씩 나뉘어 총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
최종적으로 1개씩 나뉘어 총 16개의 영역으로 나뉘게 됩니다.
총 네 번의 분할 과정이 진행됩니다.
즉, 분할 횟수를 k라고 가정할 때, 요소들의 개수 n과 k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자, 이것을 요소들의 개수 만큼 진행하므로 n을 곱해줘야겠죠?
최종적으로 퀵정렬의 연산 횟수는
이 되게 됩니다!!
랜덤하게 주어진 자료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제공될 확률을 계산해보면
2/n!이어야 하고
자료의 크기가 10개정도만 되어도 이런 식으로 자료가 주어질 확률은
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됩니다.
특히, O(n log n)의 복잡도를 가지는 다른 정렬알고리즘 보다도
더 빠르게 수행된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.
이러한 이유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이동을 줄이고
먼 거리의 데이터를 교환할 뿐만아니라,
한번 결정된 기준은 추후 연산에서 제외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에요.
위에서 말했듯이 시간복잡도가 n^2이 나올확률은 극히 적기때문에,
평균적으로 퀵정렬의 시간복잡도는 nlogn이다.
라고 말하는 거에요.
하지만 함정에 빠지시면 안됩니다.
그럼 퀵소트는 평균적으로 O(nlogn)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네요!!
----> 이렇게 말씀하시면 안됩니다. O는 최악의 수행시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기법이니까요.
앞 정렬알고리즘1 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
퀵소트에 대한 시간복잡도는
평균복잡도는 nlogn이지만 최악의 경우엔 n2이므로,
빅오표기법으로 표현한다면 시간복잡도는 O(n2)입니다.
만약, nlogn의 시간복잡도로 말하고싶다면,
Θ(세타)(nlogn)의 시간복잡도를 가집니다.
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.
이 글이 퀵소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!!🙏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 터미널에서 자바 컴파일하는법 (6) | 2017.03.09 |
---|---|
합병정렬(Merge Sort) 알고리즘 정리 ( 개념 / 시간복잡도 - O(nlogn) ) (25) | 2017.03.05 |
git README.md에 그림넣기!! (1) | 2017.02.24 |
MAC 터미널에서 원하는 디렉토리 한번에 가는 깨알 팁 (10) | 2017.02.18 |
왕 초보를 위한 CocoaPods(코코아팟) 사용법 (Xcode와 연동) (16) | 2017.02.13 |
- swift tutorial
- ios 13
- github
- UIBezierPath
- Git
- 회고
- 제이슨 파싱
- fastlane
- 피아노
- swift3
- IOS
- swift 공부
- 스위프트 문법
- swift array
- WKWebView
- FLUTTER
- Xcode
- swift sort
- np-complete
- WidgetKit
- actor
- SwiftUI
- Swift
- Combine
- np-hard
- WWDC
- 스위프트
- swift delegate
- Accessibility
- iOS delegate
- Total
- Today
- Yesterday